한눈으로 보는 키르기스스탄 경제현황
- 세계경제 영향, 민중 소요사태로 경제 악화, 회복될 것 -
□ 키르기스스탄 국가개요
○ 키르기스는 1998년 12월 WTO를 가입하면서 타 CIS 국가로서는 최초로 서구 자본경제를 도입한 국가임.
○ 이른 서구 경제 도입에도 아카예프 초기 대통령의 장기 집권, 부정부패, 소규모 인구, 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상대적 자원 빈곤으로 경제 어려움을 지속되는 상황임.
○ 2005년 우크라이나의 ‘오렌지 혁명’에 이어 ‘튤립혁명’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아오 바키예프 대통령 정권은 지속되는 경기 불안으로 2010년 민중 소요사태가 발생하게 됨.(GW 해외시장정보 4월 자, ‘키르기스스탄 소요사태 발생 ’ 참조바람)
○ 민중 소요사태에 대한 정부의 무력 탄은 수도 비쉬켁까지 확산됐고 전 외무장관 로자 오툰바예바(Roza Otunbayeva) 주도로 임시정부가 수립됨.
- 이번 소요사태는 서민 생활고가 직접적인 원인이었으나 남북 지역경제 격차, 정부 부패 및 족벌주의(Nepotism), 정경유착이라는 정치적 배경도 큼.
□ 주요 경제동향
○ 2003년 이후 전력발전 시설정비와 농업 및 IT 산업 구축, 도로 건설 등이 국제원조를 통해 대대적으로 이뤄졌으나 2005년 튤립혁명과 국제 상품가격 상승으로 경제적 혼란은 반복됨.
○ 국영기업 민영화 정책 및 토지개혁으로 경제적 호전 기미를 보이다가 러시아 모라토리엄과 금 생산 저조로 경제 성장은 크게 둔화됐음.
○ 2009년 글로벌 경제 영향에 의한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 경기 침체로 키르기스스탄은 연쇄효과를 보이면서 IMF가 제시한 ‘외부충격 완충 프로그램’을 18개월 운용했으며 경기부양정책으로 부가가치세 하위조정(20%→12%)과 단일기업세(Unified Corporate Tax) 하위조정(10%→6%) 단행함.
- 각종 부양정책과 사회복지예산지출의 증가로 GDP의 1.56%라는 재정적자를 초래하게 됨.
○ 2009년 제조업 및 에너지 부문 성장률이 저조했으나 금 생산량이 전년대비 8%가량 증가했고 곡물 생산 또한 20% 이상 증가해 플러스 성장률(3.5%)을 기록하게 됨.
○ 키르기스스탄의 교역 특징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음. 첫째, 고질적인 무역적자 국가, 두 번째로, 러시아 비중이 30%나 이르고 있다는 것, 세 번째로, 무역품목이 특정 품목에 한정돼 있어 특정 산업 영향이 크다는 것임.
- 주요 수입품목은 전력생산 연료이며, 수출품목은 금으로 전체 수출량의 1/3을 차지함.
키르기스스탄 주요 경제지표
연도별 |
2005 |
2006 |
2007 |
2008 |
2009 | ||
인구(만 명) |
520 |
526 |
532 |
538 |
544 | ||
GDP |
총액(억 솜) |
1,009 |
1,138 |
1,419 |
1,850 |
1,964 |
|
(억 달러) |
25 |
28 |
85 |
76 |
46 | ||
성장률(%) |
-0.2 |
3.1 |
8.5 |
7.6 |
2.3 | ||
1인당 GDP(달러) |
473 |
539 |
715 |
940 |
845 | ||
산업생산 성장률(%) |
-12.1 |
-10.2 |
7.3 |
14.9 |
-6.4 | ||
월 평균임금 (달러) |
N/A |
N/A |
106 |
148 |
141 | ||
인플레이션 (%) |
4.4 |
5.6 |
10.2 |
24.5 |
6.8 | ||
평균환율(솜/달러) |
41.01 |
40.15 |
37.32 |
26.57 |
42.90 | ||
대출금리 (%, 연말기준) |
N/A |
N/A |
25.3 |
19.9 |
20.4(9월) | ||
무역 (백만 달러) |
교역량 |
1,793 |
2,698 |
3,973 |
5,601 |
4,480 |
|
수출 |
687 |
906 |
1,337 |
1,847 |
1,439 | ||
수입 |
1,106 |
1,792 |
2,636 |
3,754 |
3,041 | ||
무역수지 |
-419 |
-886 |
-1,299 |
-1,907 |
-1,602 | ||
총외채 (억 달러) |
20 |
22 |
32 |
35 |
25 | ||
외국인직접투자(억 달러) |
2.1 |
3.4 |
4.4 |
8.6 |
5.5 | ||
경상수지(백만 달러) |
-60 |
-299 |
-263 |
-680 |
-108 | ||
실업률(총인구 대비, %) |
8.1 |
8.3 |
11.5 |
11.1 |
11.2 | ||
외환보유고(백만 달러, 금 제외) |
570 |
764 |
1,107 |
1,153 |
1,585 |
자료 : 키르키즈 중앙은행, 통계청, EIU, Global Insight
□ 한-키르기스 교역동향
○ 한-키르기스 교역은 실질적으로 1992년부터 집계되는데 2007년을 기준으로 크게 증가했음.
- 주요 수출품목은 의류(전체 품목의 40% 비중), 자동차 및 부품(20% 비중), 플라스틱(8% 비중) 등이며, 주요 수입품목은 곡물(30% 비중)과 한약자재에 한정됐음.
한국-키르기스스탄 교역동향
(단위 : 천 달러)
구분 |
2004 |
2005 |
2006 |
2007 |
2008 |
2009 |
2010. 1분기 |
교역량 |
1,659.8 |
1,773.3 |
2,512.2 |
3,546.3 |
5,690.0 |
4,480.8 |
1,101.2 |
수출 (증감률) |
718.8 (23.6) |
672.0 (-6.5) |
794.0 (18.2) |
1,134.2 (42.8) |
1,617.6 (42.6) |
1,439.8 (-28.8) |
419.3 (77.5) |
수입 (증감률) |
941.0 (31.2) |
1,101.3 (17.0) |
1,718.2 (56.0) |
2,412.1 (40.3) |
4,072.4 (68.8) |
3,041.0 (-25.3) |
681.9 (6.7) |
무역수지 |
-222.2 |
-429.3 |
-924.2 |
-1,277.9 |
-2,454.8 |
-1,601.2 |
-262.6 |
주 : WTA
○ 한국 대 키르기스 투자는 1997년부터 집계되는데 투자 초기는 주로 교민 정착금(사업비)에 해당되며 2007년은 기점으로 건설업, 부동산 및 임대업으로 투자금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.
○ 2009년 투자규모는 전년 대비 125% 감소했는데, 이는 키르기스 경제 침체로 대외이미지가 크게 저하되면서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한국 PF가 거의 불가능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됨.
연도별 대 키르기스 투자동향
연도 |
신고건수(건) |
투자금액(천 달러) |
1997 |
2 |
145 |
1998 |
2 |
5,800 |
1999 |
3 |
2,650 |
2000 |
1 |
350 |
2001 |
1 |
180 |
2002 |
1 |
40 |
2004 |
0 |
0 |
2005 |
2 |
355 |
2006 |
6 |
732 |
2007 |
28 |
12,824 |
2008 |
50 |
33,179 |
2009 |
16 |
8,537 |
2010.1분기 |
11 |
1,991 |
총계 |
123 |
66,783 |
자료원 : 한국수출입은행
□ 키르기스스탄의 시장특성 및 진출전략
○ 키르기스스탄은 소비에트 붕괴와 동시에 제조업 붕괴까지 겪으면서 농산물과 식품 외에 상품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최근 전력과 관광업에 대한 정부 육성이 본격화됨.
○ 인접국(러시아, 카자흐스탄, 중국)에 교역 의존도가 높고 음성적인 시장거래가 성행해 대규모의 시장이라고는 할 수 없음.
○ 최근 의류 및 신발, 전자제품, 자동차 등과 같은 한국 상품 인지도가 매우 높은 편이나 한국 상품마저도 UAE 두바이를 경유한 불법 수입이 큰 편임. 이에 따라 통관제도 개선이 대대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임.
○ 중앙아시아의 국가 중 물가와 인건비가 저렴하나 보존자원이 적기 때문에 광물 개발사업보다는 소비재 제조 및 농업부문 진출이 유리할 것임.
○ 지금까지 이뤄진 한국 자본(PF) 순수 투자보다는 위험부담이 덜한 IMF, WB, ADB의 원조성 투자금이 투입되는 프로젝트 발굴이 필요할 것임.
정보원 : WTA, 키르기스 통계청(www.stat.kg), 키르기스 중앙은행사이트(www.nbkr.kg), 한국수출입은행, 한국무역협회, 코트라 알마티 KBC 자료 분석
'학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세계의 빈곤 타파, 어떻게? - 제퍼리 삭스 저 『빈곤의 종말』 (0) | 2014.01.28 |
---|---|
[스크랩] 기독교 세계관 / 양승훈 교수 (0) | 2013.09.10 |
[스크랩] 기독교적 세계관 (양승훈교수) (0) | 2013.09.10 |